반응형
**라우터(전용 장비)**를 앞에 두고, A공유기와 B공유기를 각각 연결하는 구조로 바꾸면 설정이 훨씬 유연하고 깔끔해집니다.
DMZ 없이도 네트워크 구성도 간단해지고, 관리도 쉬워질 수 있어요.
✅ 현재 구조 복습 (이중 NAT)

- 이 구조는 B 공유기가 A 공유기 뒤에 있어서 NAT가 두 번 걸림
- 그래서 포트포워딩을 두 번 하거나 DMZ로 우회해야 외부 접속 가능
🧠 라우터 + 공유기 2대 구조
📌 변경된 구조
[인터넷 모뎀 또는 광랜]
↓
[라우터 (전용 장비)]
├── A 공유기 (무선 AP)
└── B 공유기 (NAS 연결)
- 라우터가 진짜 NAT + DHCP를 처리하고,
- A, B 공유기는 단순 스위치나 AP처럼 설정 가능 (혹은 고급 사용자면 각각 별 서브넷 구성도 가능)
- NAT는 라우터 한 번만 적용되므로 더 이상 이중 NAT가 아님
- 외부 접속 시 포트포워딩도 라우터 한 곳에서만 해주면 됨 → DMZ 불필요
🔧 구성 방법 2가지
✅ 1. A/B 공유기를 Bridge 모드(AP 모드)로 설정
- 라우터가 DHCP 서버가 되고,
- A/B 공유기는 무선 AP 역할만 수행
- 모든 장비는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 (예: 192.168.1.x)
NAS가 어디에 있어도 라우터에서 포트포워딩 한 번만 하면 외부 접속 OK
✅ 2. A/B 공유기를 각각 독립 네트워크로 사용 (고급 설정)
- 라우터는 NAT 및 라우팅 처리
- A 공유기: 192.168.10.x
- B 공유기: 192.168.20.x
- NAS는 B 공유기에 연결되며, 라우터에서 고급 포트포워딩 설정으로 외부 연결 가능
이 방법은 고급 사용자나 VLAN, 분리 네트워크 운용 시 유용
🔍 결론 요약
구성 방식NAT 횟수포트포워딩DMZ 필요 여부설정 난이도
구성 방식 | NAT 횟수 | 포트포워딩 | DMZ 필요 여부 | 설정 난이도 |
현재 이중 공유기 | 2번 | 2단계 필요 | 필요하거나 비추천 | 보통 |
DMZ 설정 | 2번 | 1단계로 단순화 | ✅ 필요 | 쉬움 |
라우터 + 공유기 2대 (브리지) | 1번 | 라우터만 설정 | ❌ 불필요 | 쉬움/매우 효율 |
라우터 + 공유기 2대 (분리망) | 1번 | 라우터에서 설정 | ❌ 불필요 | 고급 |
✅ 추천
네트워크를 깔끔하게 구성하고 싶은 경우엔 라우터 + 공유기들(AP모드) 구조가 최적이에요.
- 유지보수도 쉬움
- 외부 접속, NAS 구성, DDNS 활용 전부 간단
- 장기적으로 NAS, CCTV, IoT 등 확장할 때도 유리
반응형
'📌 IT & 트렌드 > IT & 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💰 NVDY ETF: 엔비디아 기반 커버드콜 ETF, 초고배당의 기회와 리스크 분석 (2) | 2025.03.25 |
---|---|
📅 2025년 YieldMax ETF 배당 일정 및 투자 전략 (0) | 2025.03.25 |
📌이중 공유기 환경에서 ipTIME USB NAS 외부 접속 설정하기 (ipDISK, DMZ, 포트포워딩 완전정복) (0) | 2025.03.24 |
🌟 2025년, 세상을 뒤흔들 트렌드 속으로: 당신의 삶을 새롭게 물들일 이야기들 (5) | 2025.03.17 |
[IT] 양자컴퓨터란 무엇인가? 기초부터 알아보기 (1) | 2025.03.06 |